안녕하세요 짱금입니다. 오늘은 재고자산 계정과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재고자산은 매출원가, 매입원가 등과 관련되어있는 계정과목이기에
전반적인 회계 흐름 중 중요한 부분에 해당합니다.
1. 재고자산의 취득원가의 결정
*재고자산은 팔려고 가지고 있는 자산이다.
- 재고자산이란 영업과정에서 판매를 위해 보유하는 상품과 제품, 판매를 위하여 생산과정에 있는 자산인 재공품 및 생산 또는 용역 제공과정에서 투입될 원재료나 소모품의 형태로 존재하는 자산을 말한다.
- 재고자산의 취득원가 = 매입가격 +매입관련 직접원가
- 다만 매입할인, 매입에누리, 매입환출과 리베이트는 매입원가의 차감항목이다.
- 문제에서 취득원가에 포함되는 걸 고르시오라고 물었을 때 매입할인을 고르면 야무지게 틀리는거다. 포함 = 가산 이렇게 생각해야한다.
- 보통 재무회계에서는 밖에서 사오는 재고자산, 즉 외부구입 재고자산에 대한 문제를 다룬다.
- 종종 자가제조 재고자산의 원가에 대해 물을 때도 있긴한데 그거는 원가회계에서 더 자세히, 많이 배운다.
- 다만 제조원가에 포함되는 것, 포함되지 않는 것에 대한 분류가 필요하다.
- 제조원가 포함 : 판매가능한 상태로 만들기 위해 발생한 특정고객을 위한 비제조간접원가 또는 제품디자인 원가는 해당 재고자산의 취득원가에 가산한다
-제조원가 제외 : 재료, 노무원가 및 기타 제조원가 중 비정상적으로 낭비된 부분이나 보관원가, 관리간접원가, 판매원가는 기간의 비용으로 인식한다
-재무회계에서 자가제조 재고자산에 대해 알고 넘어가면 원가관리회계 공부할 때 제조원가에 대해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. (나무보다 숲이 먼저 보이는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. )
2. 재고자산의 원가배분
*기초재고+당기매입-기말재고=매출원가
상단에 기재한 식은 재고자산의 시작이라고 생각하면 좋다.
-보통 재고자산 관련 문제는 기말재고자산, 당기매입자산, 기초재고자산, 혹은 매출원가를 구하라는 문제가 종종 출제 되기 때문이다.
-더불어 이 식을 알고 있어야 감모, 평가 손실과 원가흐름에 대한 문제를 풀 수 있을 것이다.
(기말재고자산에 포함할 항목의 결정)
◎ 미착상품 – 선적지인도조건의 매입재고 (이미 배타고 오고 있는거= 이미 선적했으니까 내꺼임)/ 도착지 인도조건의 매출재고 (아직 배타고 가고 있는 거 = 도착해야 팔린거, 그 전까지는 내꺼임) 는 창고에 없더라도 기말재고에 포함됨
◎ 시용판매상품 – 고객한테 써보라고 준 건데, 아직 사겠다는 말 없으면 그건 내꺼임 . 창고에 없어도 기말재고에 포함됨.
◎ 위탁판매상품 – 나 대신 이 물건 좀 팔아줘 하고 위탁 맡긴 상품인데 최종소비자에게 아직 안팔렸다면 그건 내꺼임 . 창고에 없어도 기말재고에 포함됨
◎ 저당상품 – 이거 저당 잡힌거긴 한데 아직 소유권 이전은 안됐으면 내꺼임. 창고에 없어도 담보제공자인 나의 기말재고에 포함됨
◎ 반품률이 높은 재고 – 추정이 가능하다면 반품예상액만큼이 내 재고자산임 . 그리고 추정이 불가능하다면 전체가 내 재고자산임
◎ 판매후 재매입약정재고 – 선도, 콜옵션 = 내 기말재고야 / 풋옵션 = 고객꺼 = 내 재고 아님
◎ 할부판매상품 - 창고에 없으면 이미 팔린거임 . 내 기말재고 아님
◎ 미인도청구판매상품 - 아직 내 창고에 있긴 한데 이미 판매된거면 내 기말재고 아님
* 재고자산의 수량결정방법
- 계속기록법 : 매입시, 매출시 수량의 변동을 계속 기록하는 것임 .
- 실지재고조사법 : 기말 시점에 한번 얼마나 남았는지 기록하는것임
* 재고자산의 단위당 원가의 결정방법
- 개별법 : 식별되는 재고자산별로 개별 취득원가를 부과하는 방법
- 선입선출법 : 기말재고에 가장 최근 매입원가를 부과하는 방법
- 가중평균법 : 기초재고에 당기 매입재고자산의 원가를 가중평균하여 부과하는 방법으로 계속기록법의 논리에 따라 매입 또는 생산할 때마다 평균을 산정하는 이동편균법과 실지재고조사법의 논리에 따라 주기적으로 평균을 산정하는 총평균법이 있음 .
△ 이 원가흐름의 가정이 중요한 이유는 이 흐름을 어떤 방법으로 하느냐에 따라 매출원가가 달라짐. 즉, 매출원가가 얼마가 잡히느냐에 따라 영업이익이 정해지는건데, 매출원가를 높게 잡으면 영업이익이 적게 잡히고 매출원가를 낮게 잡으면 영업이익이 크게 잡히는 거임 .
3. 재고자산의 감모손실과 평가손실
* 감모손실은 수량이 비는거, 평가손실은 그 가치가 줄어드는거
- 재고자산의 감모손실은 정상/비정상 감모손실로 나뉨 . 그리고 정상 감모손실은 매출원가로 분류되고, 비정상적으로 발생한 감모손실의 경우에는 영업외비용으로 분류하는것이 일반적인 규정임 .
- 재고자산의 평가손실은 보통 매출원가로 분류하는것이 일반적임 .
보통은 문제에서 별도로 제시된 단서에 따라 답안을 찾아나가면 됨 .
여기서 포인트는 감모손실, 평가손실이 매출원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파악할 수 있어야함 .
4. 추정에 의한 재고자산 평가
- 매출총이익률법 = 매출총이익 / 매출액
- 소매재고법 ****
이게 좀 헷갈리는 애 중 하나임 ..
가중평균법이랑 선입선출법으로 나뉘는데
★ 가중평균법
= 원가/ 매가
= 기초 + 당기매입 원가 / 기초 + 당기매입 매가 + 순인상액 - 순인하액
★ FIFO 법
= 원가 - 기초재고 원가 / 매가 - 기초재고 매가
= 당기순매입액 원가 / 당기 매입액 매가 + 순인상액 - 순인하액
** 여기서 포인트는 저가법 적용하면 각각의 원가율에서 순인하액은 고려하지 않음
※ 그리고 소매재고법의 특수상황 (비매정종)
1. 매입운임, 매입환출, 매입에누리, 매입할인 : 원가에서 가산, 차감 하고 매입환출은 원가와 매가 모두에서 차감함
2. 비정상파손 : 원가와 매가에서 각각 차감함
3. 매출환입과 매출에누리 등 : 매출액에서 차감
4. 종업원할인 및 정상파손 : 종업원할인과 정상파손은 매출액에 가산함.
'경영 > 재무회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6. 유형자산 (취득원가, 감가상각,정부보조금, 교환회계처리) ① (0) | 2024.05.28 |
---|---|
05. 농림어업자산 (0) | 2024.05.27 |